2024년, 세계 군사력 순위는 변함없는 상위권 국가들의 견고한 위치를 보여주었습니다. 미국, 러시아, 중국, 인도는 여전히 강력한 군사력을 과시하며 상위 순위를 지켰습니다. 이들 국가의 군사력 지수는 지속적으로 상승, 그들의 군사적 우위를 더욱 견고히 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군사력의 약진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대한민국 군사력 순위가 세계 5위에 올라선 점입니다. 50만 명에 달하는 현역 병력과 59조 5,885억 원의 방대한 국방 예산으로 인상적인 군사 규모를 자랑합니다.
한국의 군사력은 특히 기계화 및 포병 전력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핵무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위력 미사일과 전투기, 잠수함 등을 통해 안보 위협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은 예비군 포함 시 세계에서 가장 많은 병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 남성의 80% 이상이 군대 경험을 갖고 있어, 유사시 빠른 전력 투입이 가능한 강력한 군사 지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세계 군사력 순위와 해당 국가의 전투력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세계 군사력 순위
1위 미국
- 파워 인덱스: 0.0699
- 총 군사 인력: 2,127,500명
- 군사 지출: 8,760억 달러
- 주요 자산: 항공기 13,300대, 공격 헬리콥터 983대 등
미국의 군사력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방대한 국방 예상과 첨단 군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여러 지역에 걸쳐 광범위한 군사 작전과 영향력을 가능하게 합니다.
대규모의 활동 병력과 예비 병력, 고도로 훈련된 특수 부대, 첨단 항공기와 해군 함대 등이 미국의 군사력의 핵심을 이룹니다. 또한, 미국은 국제 동맹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안보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위 러시아
- 파워 인덱스: 0.0702
- 총 군사 인력: 3,570,000명
- 첨단 기술과 전략적 글로벌 영향력으로 주목
러시아의 군사력은 대규모 육군과 해군, 그리고 다양한 군사 장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러시아는 탱크 14,777대 / 장갑차 161,382대 / 자주포 6,208대 / 견인포 8,356대 / 로켓 아틸러리 3,065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해군에서는 총 781척의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는 1척의 항공모함, 14척의 구축함, 12척의 프리깃, 83척의 코르벳, 65척의 잠수함이 포함됩니다.
2024년에는 국방 예산을 대폭 증가시켜 10.78조 루블(약 1,090억 달러)을 할당하였으며, 이는 전체 예산의 29.4%에 달합니다. 지속적으로 군대 규모를 늘리고 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군대의 인원을 170,000명 증가시켜 총 1.32백만 명으로 늘리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3위 중국
- 파워 인덱스: 0.0706
- 총 군사 인력: 3,170,000명
- 군사 지출: 2,920억 달러
- 해군, 공군 및 육군 능력 향상에 중점
중국은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국가 중 하나로 대규모 육군, 해군 및 공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국방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육군은 약 254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해군에는 약 38만 명의 인원이 있으며, 공군은 약 40만 명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3,304대의 항공기 / 5,000대의 탱크 / 174,300대의 장갑차량 / 3,850대의 자주포 / 3,180대의 로켓 아틸러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군 자산으로는 2척의 항공모함, 49척의 구축함, 42척의 프리깃, 72척의 코르벳, 61척의 잠수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4위 인도
- 파워 인덱스: 0.1023
- 총 군사 인력: 5,137,550명
- 군사 지출: 813억 달러\
- 항공기 총 수: 2,296대 (전투기 606대, 공격용 항공기 130대, 고정익 수송기 264대, 훈련용 항공기 351대, 특수 임무용 항공기 70대, 헬리콥터 869대, 공격용 헬리콥터 40대)
- 육군 장비: 탱크 4,614대, 장갑차량 151,248대, 자주포 140대, 견인포 3,243대, 로켓 아틸러리 702대
- 해군 자산: 총 294척 (항공모함 2척, 구축함 12척, 프리깃 12척, 코르벳 18척, 잠수함 18척, 순찰선 137척)
5위 대한민국
- 파워 인덱스: 0.1416
- 총 군사 인력: 3,820,000명(현역 약 50만 명)
- 항공기: 총 1,576대 (전투기 354대, 공격용 항공기 98대, 고정익 수송기 41대, 훈련용 항공기 288대, 특수 임무용 항공기 33대, 헬리콥터 758대, 공격용 헬리콥터 112대)
- 육군 장비: 탱크 2,501대, 장갑차량 66,492대, 자주포 3,189대, 견인포 4,863대, 로켓 아틸러리 581대
- 해군 자산: 총 200척 (항공모함 0척, 헬리콥터 운반함 2척, 구축함 13척, 프리깃 17척, 코르벳 5척, 잠수함 22척, 순찰선 35척, 기뢰전함 14척)
6위 영국
- 파워 인덱스: 0.1443
- 총 군사 인력: 1,108,860명
- 총 항공기 수: 664대 (전투기 120대, 공격용 항공기 29대, 고정익 수송기 31대, 훈련용 항공기 219대, 특수 임무용 항공기 26대, 공중급유기 9대, 헬리콥터 276대, 공격용 헬리콥터 52대)
- 육군 장비: 탱크 213대, 장갑차량 27,203대, 자주포 71대, 견인포 126대, 로켓 아틸러리 41대
- 해군 자산: 총 117척 (항공모함 2척, 구축함 6척, 프리깃 11척, 잠수함 10척, 순찰선 26척, 기뢰전함 9척)
영국 군은 그레이 존 위협에 대응하며, 전통적인 무장 충돌 외의 방법을 포함하는 사이버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적들에 맞서 적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영국 군은 더 글로벌한 관점, 작전 및 파트너십을 강조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병력을 배치하여 즉각적인 위협에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7위 일본
- 파워 인덱스: 0.1601
- 총 군사 인력: 328,158명
- 육군 장비: 탱크 518대, 장갑차량 37,662대, 자주포 173대, 견인포 480대, 로켓 아틸러리 54대
- 해군 자산: 총 155척 (항공모함 0척, 헬리콥터 운반함 4척, 구축함 36척, 프리깃 4척, 코르벳 6척, 잠수함 23척, 순찰선 6척, 기뢰전함 22척)
일본의 군사력은 상당한 변화와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북한, 러시아로부터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방위 예산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2024년 방위 예산은 7.95조 엔(약 55.9억 달러)로 책정 되었으며, 전년 대비 16.5% 증가한 수치입니다. 또한, 카운터 스트라이크 능력 개발을 포함하여 더 긴 사거리 미사일과 사어비전 능력에 투자할 예정입니다.
8위 터키
- 파워 인덱스: 0.1697
- 총 군사 인력: 883,900명
- 육군 장비: 탱크 2,231대, 장갑차량 55,104대, 자주포 1,038대, 견인포 1,747대, MLRS (로켓 아틸러리) 286대
- 해군 자산: 총 186척 (항공모함 0척, 헬리콥터 운반함 0척, 구축함 0척, 프리깃 16척, 코르벳 9척, 잠수함 12척, 순찰선 34척, 기뢰전함 11척)
터키의 2024년 국방 예산은 405억 달러로 책정되었으며, 전년 대비 150% 증가한 수치입니다. 방위 산업에서 자급 자족률을 2023년의 80%에서 2024년에는 85%로 증가시킬 계획을 갖고 있으며, 23년 60억 달러에서 2024년 110억 달러로 방위 산업 수출을 두 배로 증가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9위 파키스탄
- 파워 인덱스: 0.1711
- 총 군사 인력: 1,704,000명
- 총 항공기 수: 1,434대 (전투기 387대, 공격용 항공기 90대, 고정익 수송기 60대, 훈련용 항공기 549대, 특수 임무용 항공기 25대, 공중급유기 4대, 헬리콥터 352대, 공격용 헬리콥터 57대)
- 육군 장비: 탱크 3,742대, 장갑차량 50,523대, 자주포 752대, 견인포 3,238대, 로켓 아틸러리 602대
- 해군 자산: 총 114척 (항공모함 0척, 헬리콥터 운반함 0척, 구축함 2척, 프리깃 9척, 코르벳 7척, 잠수함 8척, 순찰선 69척, 기뢰전함 3척)
10위 이탈리아
- 파워 인덱스: 0.1863
- 총 군사 인력: 289,000명
- 공군: 총 항공기 수 800대 (전투기 90대, 공격용 항공기 67대, 고정익 수송기 29대, 훈련용 항공기 163대, 특수 임무용 항공기 28대, 공중급유기 8대, 헬리콥터 402대, 공격용 헬리콥터 57대)
- 육군 장비: 탱크 200대, 장갑차량 61,892대, 자주포 64대, 견인포 108대, 로켓 아틸러리 21대
- 해군 자산: 총 309척 (항공모함 2척, 구축함 4척, 프리깃 13척, 잠수함 8척, 순찰선 18척, 기뢰전함 10척)
이탈리아는 지중해 지역의 광범위한 안보 이해관계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안정성 확보 전략을 바탕으로 군사력을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는 또한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장기적인 도전에 대응하고, NATO의 남부 지역에서 억제력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군사 계획에는 군사 근대화, 특히 6세대 전투기 개발과 같은 첨단 기술 및 장비에 대한 투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파워 인덱스란 무엇일까?
파워 인덱스(Power Index)는 국가의 군사력을 수치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글로벌 파이어파워(Global Firepower)와 같은 기관이 국가별 군사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군사 인력의 규모 (활동 병력, 예비 병력 포함)
- 국방 예산 및 경제 상태
- 무기 시스템의 다양성 및 현대성 (탱크, 항공기, 해군 선박 등)
- 지리적 요인, 자연 자원 및 산업 능력
- 군사 인프라 및 물류 능력
파워 인덱스는 낮을수록 강력한 군사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국가가 전쟁이나 국방 상황에서 더 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평가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지수는 군사적 강도만을 나타내며, 실제 전쟁 상황에서의 승리를 보장하지 낳습니다.
2024년 세계 주요 국가들은 각자의 지정학적, 전략적 상황에 따라 군사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미국, 러시아, 중국, 인도, 대한민국, 영국, 일본 터키 등은 방대한 국방 예산, 첨단 기술 그리고 전략적 군사 자산을 통해 글로벌 안보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군사력 강화는 지역적 안보 우려, 경제적 능력, 국가별 정책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상 2024년 세계 군사력 순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뉴스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가시티 서울 부동산 전망 그리고 부울경 메가시티의 필요성은? (0) | 2023.11.07 |
---|